FE/JavaScript

Array의 여러 메소드

잠수함 2020. 12. 25. 14:52
728x90

* Array의 기본 형식

- var 배열 = [1, 2, 3, 4, ...]    //숫자, 문자등 구성 가능

- 첫번째 요소는 0부터 시작

 

 

* push

- 배열의 마지막 요소에 넣고자하는 새로운 메소드 추가

- 배열.push("new number"} 

==> 배열변수의 배열 요소는 [1, 2, 3, 4, "new number"] 로 변경

 

*pop

-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제거 후, 제거한 요소를 반환

- 배열.pop();

==> 배열변수의 배열 요소는 [1, 2, 3, 4] 로 변경되며 제거된 반환 요소는 "new number" 이다.

 

*shift

-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제거한 후, 제거한 요소를 반환

- 배열.shift();

==> 배열변수의 배열 요소는 [2, 3, 4] 로 변경되며 제거된 반환 요소는 1 이다.

 

*unshift

- 배열의 첫 번재 자리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한 후, 변경된 배열의 길이를 반환

- 배열.unshift("new source");

==> 배열변수의 배열 요소는  ["new source", 2, 3, 4] 로 변경되며 배열의 크기는 4 이다.

 

*splice

- 배열의 특정 위치에 배열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데 사용

- arr.splice( 시작, 삭제, 추가)

//시작: 수정할 배열 요소의 인덱스 

//삭제: 삭제한 요소 개수, 제거하지 않을 경우 0 넣어주면 됨

//추가: 배열에 추가될 요소

ex) 배열.splice(3, 0, "new N5", "new N6", "new N7")

==> 배열요소는  "new source", 2, 3, 4, "new N5", "new N6", "new N7" 이렇게 나옴

ex2) 배열.splice(1, 3, 0)

==> 배열요소는 "new source", "new N5", "new N6", "new N7" 이렇게 나옴

 

*Math.random()

- 0이상 1미만의 구간에서 부동소숫점 의사 난수 제공

 

*Math.ceil()

- 주어진 실수 값에서 소수점을 무조건 올림함

- 소수점이 없는 경우 올림없이 그대로 표현

 

*Math.floor()

- 주어진 실수 값에서 소수점을 무조건 내림함

- 소수점이 없는 경우 올림없이 그대로 표현

 

*Math.round()

- 주어진 실수 값에서 소수점을 무조건 반올림함

 

'F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기본 #2  (0) 2021.07.08
class & object  (0) 2021.06.30
JS 기본 #1  (0) 2021.06.29
구구단 만들기  (0) 2020.12.20
끝말잇기 만들기  (0) 2020.12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