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udy/개인공부

M1-W3-D4

잠수함 2021. 5. 13. 17:02
728x90

리눅스 내부구조

 

1. 파일 시스템

 

1-1. 운영 체제에서는 커널 이미지, 시스템 실행과 관련된 시스템 파일 그리고 유틸리티 파일 등을 제공한다.
1-2. 사용자의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서 사용 됨.
1-3. 파일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파일들을 관리된다.
1-4.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저장, 삭제 읽기 등의 파일 관리 기능과 파일에 대한 접근 제어 기능을 제공 
1-5. 윈도우에서는 FAT32, NTFS와 같은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고 리눅스 에서는 EXT2, EXT3 와 같은 파일 시스템을 제공
1-6. 디렉터리 안에 디렉터리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
1-7. 루트 디렉터리 : 장치의 메인 디렉터리
 
    - 여러 장치(하드 디스크)를 사용하게 되면 루트 디렉터리 구분에 문제가 생긴다.

    - MS 윈도우에서 분리형 루트라 불리는 방식으로 이를 해결한다.

    - 유닉스 계열에서는 통합형 파일 시스템을 사용한다.

 

2. 가상 파일 시스템

 

2-1 리눅스 커널의 특징 중 하나이며 유닉스에 비해 리눅스는 초창기부터 가상 파일 시스템을 지원했다.
2-2 모든 파일 시스템을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보이게 하는 계층(layer)이라 할 수 있다.
2-3 파일, 디렉터리, 특수 파일 등을 파일 처리 시스템 호출(system call)을 통해 일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.

 

* 주요 특수 파일 시스템
- procfs : 커널 및 커널 모듈(디바이스 드라이버) 정보를 참조하거나, 설정 변경을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 /proc에 마운트
- sysfs : 시스템에 접속된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하거나, 설정 변경을 위한 파일 시스템. /sys 에 마운트
- devfs : 물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디바이스 파일을 배치하는 파일 시스템 . /dev 에 마운트
  

 

3.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

 

- / 루트: 루트 디렉터리는 시스템의 근간이 되는 가장 중요한 디렉터리이다.  모든 파티션, 디렉터리는 루트 디렉터리 아래에 위치하기 때문에 반드시 존재해야 한다.

- /bin: 시스템 관리자 혹은 일반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수많은 명령어들이 들어있다.
ex) cat, chmod, date, ls, mkdir, rm, touch, vi . . .

- /sbin: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. 시스템을 수정, 복구에 관한 많은 명령어들이 들어 있으며 일반 사용자의 실행 권한도 제한을 해야 하는 등 보안에 신경을 써야 한다. 
ex) ifconfig, reboot, shutdown, mount, fsck

- /boot: 부트로더와 부팅에 관련된 파일들이 있다. 손상되면 시스템이 부팅이 되지 않으므로 특별한 목적이 아니면 건들지 말아야 한다.

- /home: 유저들의 홈 디렉터리가 하위 디렉터리로 존재하게 된다. 

 

- /dev: 디바이스 파일들이 있다. 시스템의 모든 장치가 파일로 표현되어 있는데 udev라는 데몬이 이곳의 장치 파일을 관리한다.
ex) /dev/sda, /dev/hda, /dev/tty1, /dev/pts/0

- /etc: 시스템 혹은 각종 프로그램들의 환경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. 시스템 관리에서는 이곳의 파일들을 주로 수정하게 된다. 따라서 이 곳의 설정 파일들은 백업을 해 두는 것이 좋다.
ex) /etc/fstab, /etc/gourp, /etc/initab, /etc/passwd, /etc/sysconfig/i18n

- /lib: 시스템의 프로그램이 실행 할 때 필요한 공유 라이브러리들이 들어있다 따라서 특별한 일이 없으면 변경하거나 삭제하지 않는 것이 좋다.

- /mnt: 마운트를 위한 임시 디렉터리가 위치한다. CD나 USB같은 이동 디스크를 마운트할 때 사용하게 된다.

- /root: root 계정의 홈 디렉터리이다. root 홈 디렉터리는 root만 접근할 수 있다.

- /var: log파일등 수시로 업데이트되는 파일들이 위치한다. 또한 시스템 운영에 필요한 파일들도 위치하기 때문에 수정과 삭제에 주의해야 한다.


- /usr/bin: 응용 프로그램들의 실행파일들이 위치

- /usr/sbin: 시스템 관리를 위한 명령어들이 있다.

- /usr/include: 시스템, 네트워크 프로그래밍을 위한 C 헤더파일

- /usr/lib: /usr/bin, /usr/sbin 에서 있는 실행 파일들을 위한 라이브러리들이 우치

- /tmp: 임시로 파일을 만들고 삭제하는 공간이다.

- /lost+found: 부팅시 파일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경우 fsck 명령어로 복구할 때 사용하는 디렉터리



4. 프로세스

 

4-1. 프로세스 상태

 

4-2. 프로세스 자료 구조

 

 

4-3 

 

PATH=$PATH:/usr/local/douzone2021/maven/bin

 

* 설정

cd (root 작업환경이동)

 

* 계정

1.groupadd mysql

2.useradd -M -g mysql mysql

3.install directory /mariadb 소유자변경: chown -R mysql:mysql 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

 

* 설정파일 위치변경

cp -R 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etc/my.cnf.d /etc

ls -ls /etc/my.cnf.d (확인하기)

 

* 기본관리 데이터베이스(mysql) 생성

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script/mysql_install_db --user=mysql --basedir=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 --defaults-file=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etc/my.cnf --datadir=usr/local/douzone2021/mairadb/data

 

* 서버구동

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bin/mysqld_safe & 

 

* root 패스워드 설정

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bin/mysqladmin -u root password '비밀번호'

 

* 데이터베이스 접속(client program) 테스트

/usr/local/douzone2021/mariadb/bin/mysql -u root -D mysql -p

 

* path 설정

#mysql

export PATH=$PATH:/usr/local/douzone2021/his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study > 개인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1-W4-D1  (0) 2021.05.17
M1-W3-D5  (0) 2021.05.14
M1-W3-D3  (0) 2021.05.12
M1-W3-D2  (0) 2021.05.11
M1-W3-D1  (0) 2021.05.10